Part 1: 인터넷의 탄생 (1969-1991)
인터넷의 탄생 (1969-1991)
From ARPANET to World Wide Web: The Revolution of Connectivity
• 역사적 맥락: 냉전 구조와 스푸트니크 쇼크가 어떻게 분산 네트워크 연구의 동력이 되었는지
• 기술적 혁신: 회선 교환에서 패킷 교환으로의 패러다임 전환과 그 함의
• 제도적 진화: ARPA → NSF → 상업 인터넷으로의 거버넌스 변화
• 글로벌 영향: 미국 주도의 개방형 표준이 어떻게 세계 정보 질서를 재편했는지
📖 주요 1차 자료 (Primary Sources)
ARPANET Completion Report
Bolt, Beranek and Newman. (1978). ARPANET Completion Report.
Licklider Memorandum
Licklider, J.C.R. (1963). “Members and Affiliates of the Intergalactic Computer Network”
I. 냉전의 기술적 유산: 스푸트니크에서 ARPANET까지
1.1 1957년 10월 4일: 스푸트니크 쇼크와 미국의 각성
소련의 첫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 발사는 단순한 우주 경쟁의 시작이 아니었습니다. 이는 미국의 기술적 우월성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제기했고, 무엇보다 통신 인프라의 취약성을 드러냈습니다.
🚀 스푸트니크가 제기한 근본 질문들
“We must be ready to defend the free world against any who would enslave it. In particular, we must carefully examine what our defense preparations should be against the possibility of Soviet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armed with atomic warheads.”
1.2 ARPA의 창설과 J.C.R. Licklider의 비전
1958년 2월,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ARPA)를 창설했습니다. 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1962년 심리음향학자 J.C.R. Licklider가 Information Processing Techniques Office(IPTO) 책임자로 부임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Licklider의 “Intergalactic Computer Network” 개념
1963년 4월 25일, Licklider는 ARPA의 주요 연구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Intergalactic Computer Network”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습니다. 이는 농담이 아니라 진지한 기술적 비전이었습니다.
이는 오늘날 클라우드 컴퓨팅과 분산 컴퓨팅의 철학적 기초가 되었습니다.
🤔 생각해볼 질문
반사실적 역사(Counterfactual History): 만약 스푸트니크 발사가 없었다면? ARPA가 창설되지 않았다면? 인터넷 발명이 10-20년 늦어졌을 가능성은?
현대적 유추: 2020년 코로나19가 재택근무 기술 발전을 가속화한 것처럼, 냉전이 네트워크 기술에 미친 영향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요?
II. 패킷 스위칭 혁명: 회선 교환의 한계 극복
2.1 회선 교환 vs 패킷 교환: 패러다임의 전환
1960년대 통신은 전화 시스템에 기반한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이 지배적이었습니다. 이는 19세기 전신 시스템에서 진화한 기술로, 통화 시작부터 종료까지 전용 회선을 점유하는 방식입니다.
기술적 패러다임 비교분석
2.2 Donald Davies와 Paul Baran: 독립적 발견의 역사
🌍 동시다발적 혁신: 영국과 미국
Paul Baran (RAND Corporation)
Donald Davies (NPL, 영국)
두 연구자는 서로 독립적으로 같은 원리를 발견했으며, 이는 기술 혁신의 “동시다발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입니다.
🧠 현대적 유추로 이해하기
회선 교환 = 전용 고속도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데 고속도로 전체를 혼자 독점 사용. 다른 차들은 모두 대기. 도착하면 반납.
패킷 교환 = 공유 고속도로:
여러 차들이 같은 고속도로를 공유하되, 각자 최적 경로 선택. 사고로 한 구간 막히면 우회로 자동 탐지.
III. ARPANET 구현: 이론에서 현실로 (1969-1975)
3.1 1969년 10월 29일: 첫 번째 메시지와 “LO”의 의미
역사적 순간: 첫 ARPANET 메시지
송신: UCLA (Leonard Kleinrock 연구실)
수신: Stanford Research Institute (SRI)
의도된 메시지: “LOGIN”
실제 전송된 메시지: “LO” (시스템 다운으로 중단)
이 “실패한” 첫 메시지는 역설적으로 패킷 교환의 장점을 보여줍니다. 기존 회선 교환이었다면 연결 자체가 불가능했겠지만, 패킷 방식에서는 일부 데이터라도 전송될 수 있었습니다.
한 시간 후 재시도에서 “LOGIN” 전체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고, 이것이 인터넷 시대의 공식적 시작이 되었습니다.
3.2 초기 4개 노드의 전략적 선택
ARPANET 1단계 노드 분석
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Leonard Kleinrock 연구실
선정 이유: Kleinrock의 대기이론(Queueing Theory) 연구로 패킷 교환 이론적 기초 확립
기술적 기여: 네트워크 성능 분석 도구 개발
SRI (Stanford Research Institute)
📍 멘로 파크, 캘리포니아 • Douglas Engelbart 연구실
선정 이유: Engelbart의 “Augmenting Human Intellect” 프로젝트
기술적 기여: 최초의 인터넷 도메인 관리, RFC(Request for Comments) 시스템
🤔 심화 질문
네트워크 효과: 왜 4개 노드부터 시작했을까? 2개나 3개가 아닌 4개 노드의 수학적/기술적 의미는?
지정학적 고려: 모든 노드가 서부에 위치한 이유는? 동부 아이비리그 대학들이 제외된 배경은?
IV. 글로벌 확산과 현대적 함의
4.1 한국 인터넷 도입사: 1982년 CSNET 연결의 의미
1982년 5월 15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Computer Science Network(CSNET)에 연결되면서 한국이 글로벌 네트워크에 편입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한국의 정보화 사회 진입을 의미했습니다.
🇰🇷 한국 인터넷 발전 단계별 분석
“What If” 시나리오: 한국이 인터넷을 늦게 도입했다면?
만약 한국이 1990년대 후반에야 인터넷을 본격 도입했다면:
- 삼성, LG의 글로벌 IT 기업으로의 성장 불가능
- 온라인 게임 산업 (넥슨, NC소프트) 발전 지연
- K-pop의 유튜브를 통한 글로벌 확산 차단
-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경제로의 신속한 전환 불가
이는 네트워크 효과의 “타이밍”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4.2 미국 헤게모니와 인터넷 거버넌스
인터넷이 미국에서 시작되어 영어를 기본 언어로, 미국 동부 시간을 기준으로 발전한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이는 21세기 디지털 질서에 근본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 미국 중심의 인터넷 구조
기술적 헤게모니
- DNS 루트 서버의 물리적 위치
- IANA(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기관) 통제
- 주요 해저 케이블의 경유지
경제적 헤게모니
- Google, Apple, Amazon의 플랫폼 지배력
-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털 생태계
- NASDAQ의 글로벌 IT 기업 집중
🎯 핵심 통찰 (Key Insights)
역사적 우연성
인터넷은 냉전, 스푸트니크 쇼크, 개인의 비전이 결합된 역사적 우연의 산물입니다. 다른 시공간에서는 전혀 다른 형태의 네트워크가 나타날 수 있었습니다.
기술적 경로의존성
1970년대 TCP/IP 선택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것처럼, 초기 기술 결정이 수십 년간 지속되는 경로의존성을 보여줍니다.
개방성의 힘
기업의 독점적 네트워크가 아닌 개방형 표준이 승리한 것은 혁신의 민주화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오늘날 누구나 인터넷에 콘텐츠를 올릴 수 있는 이유입니다.
📚 심화 학습 자료
필수 도서
- Abbate, J. (1999). Inventing the Internet. MIT Press.
- Hafner, K. & Lyon, M. (1996). Where Wizards Stay Up Late. Simon & Schuster.
- Leiner, B. et al. (1997). “Brief History of the Internet”. Internet Society.
학술 논문
- Kleinrock, L. (1964). “Communication Nets: Stochastic Message Flow and Delay”. McGraw-Hill.
- Baran, P. (1964). “On Distributed Communications Networks”. RAND Corporation.
- Davies, D. (1966). “Proposal for a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NPL.
📖 다음 레슨 예고
Part 2: 가상화 기술의 진화 – 하나의 컴퓨터가 여러 개가 되는 마법
IBM 메인프레임 시절부터 VMware, 그리고 클라우드까지. 하이퍼바이저의 작동 원리와 가상화가 현대 IT 인프라의 기반이 된 과정을 탐구합니다.